낙서장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shift 1

리버싱 5차시 과제

imul - imul은 Signed Multiply다. - 여기선 IMUL r/m32에 해당되니 그것만 보면, - register/memory 32비트, 즉 4바이트짜리끼리 연산할 때 EAX * r/m doubleword(4바이트)를 EDX:EAX로 넣는다. - EDX:EAX notation은 상위 4바이트를 EDX에, EAX에 하위 4바이트를 저장한다는 의미다. sar, sal, shr, shl - sar은 shift arithmetic right이다. - sal은 shift arithmetic left이다. - shr은 shift right이다. logical shift를 말한다. - shl은 shift left이다. logical shift를 말한다. - arithmetic shift는 기본적으로 ..

Layer7 동아리 과제 2022.07.31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낙서장

https://velog.io/@msh1307

  • 분류 전체보기 (94)
    • WARGAME (34)
      • FTZ (11)
      • pwnable.kr (6)
      • Lord of sql injection (9)
      • webhacking.kr (5)
      • pwnable.tw (3)
    • SYSTEM HACKING (7)
    • REVERSE ENGINEERING (1)
    • 프로그래밍 (13)
      • C (9)
      • JAVASCRIPT (2)
      • PYTHON (2)
    • PS (5)
      • BOJ (5)
    • Layer7 동아리 과제 (28)
    • OS, Kernel (5)
    • POSIX 동아리 정리 (1)

Tag

BOJ, Level10, FTZ, malloc libc leak, 시스템콜, pwnable.kr, flask, 커널, pwnable.tw, mmap libc leak, OS, kernel, lord of sql injection, 하드웨어, 리버싱, 해커스쿨, 링커, sysmallc_mmap, 백준, 리눅스 커널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5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